재테크,투자

디앤솔루션즈 공모주 분석

jina1007 2025. 4. 30. 13:52
종목명 디엔솔루션즈
공모가액 65,000 ~89,700
시가총액(예상) 41,039억원 ~ 56,634억원
공모금액(예상) 11,399억원 ~ 15,731억원
공모주식수 17,537,000
신주 수량 17,537,000 (모집43%)
수요예측기간 2025.04.22 ~ 2025.04.28
청약예정기간 2025.05.07 ~ 2025.05.08

 

디엔솔루션즈(DN솔루션즈)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공작기계 제조 기업으로, 1976년 대우중공업 공작기계 부문으로 출발하여 2005년 두산인프라코어 공작기계 사업부를 거쳐 2016년 독립하였고, 이후 글로벌 공작기계 기업으로 성장하였음

회사는 경남남도 창원과 중국 옌타이에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 세계 66개국에 145개의 딜러 네트워크를 통한 판매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초정밀 공작 기계 산업 및 “Mother Machine” 기계제조 분야에서 국내 시장 점유율 1, 세계 시장 점유율 3위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으로 약 400여 종의 공작기계를 시장에 공급하고 있음

(출처: 디엔솔루션즈 홈페이지)

디엔솔루션즈는 전체 매출에서 해외 시장 부문이 약 80%에 이를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도 기술을 인정받고 있으며 생산 효율성을 높이는 제품을 중점적으로 선보여 2032년에는 글로벌 ''으로 올라서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글로벌 전시회와 자체 전시회인 DIMF를 통해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 있으며, 해외 7개 법인을 중심으로 공작기계를 판매하고 있음

(출처: 디엔솔루션즈 홈페이지)

디엔솔루션즈는 공장 자동화 산업 중에서 가공 분야에 특화되어 있으며, 주요 사업영역은 공작기계를 중심으로 한 자동화 솔루션 제공 및 고객서비스(유지, 보수, Retrofit )등임 공작기계는 다양한 전방 산업들에서 고객이 요구하는 정밀한 형상을 가공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해 '기계를 만드는 기계'로 불리며 다른 기계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필수 부품을 생산한다고 볼 수 있고, 자동화 솔루션은 기존 가공 공정의 한계점(인력 의존에 따른 효율성 저하)을 극복하는 솔루션을 제공함

(출처: 디엔솔루션즈 홈페이지)

전통적인 제조업계는 고령화 및 인건비 상승과 인력난 심화 등의 이슈로 자동화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디엔솔루션즈는 자동화 솔루션 및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며, 이 장비들은 자동차, 반도체, 항공우주, 의료,에너지 산업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디엔솔루션즈는 453종의 제품 라인업을 보유해 거의 모든 산업군을 커버할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했음

(출처: 디엔솔루션즈 홈페이지)

(출처:디엔솔루션즈 증권신고서)

 

2024년도 기준으로 매출의 95% 이상이 공작기계 및 자동화 솔루션에서 나오고 있음

공작기계 시장은 전세계적으로 (DMG Mori, Mazak, DN Solutions, Okuma, Makino) 상위 5개 기업이 글로벌 점유율 50% 이상을 과점하는 구조인데, 디엔솔루션즈는 글로벌 점유율 7.5% 3위를 차지하고 있고, 2023 73.2%의 국내 점유율을 기록하였음

(출처:디엔솔루션즈 증권신고서)

(출처:디엔솔루션즈 증권신고서)

글로벌 공작기계 시장은 2024년 약 774억 달러 규모로 추산되며 그 중 금속 절삭 기계가 약 434억 달러로 전체 시장의 56%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평균 4.3% 성장하여 2028년에는 약 916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출처:디엔솔루션즈 증권신고서)

매출액은 2023년 약 2.1조원 2024년 약 2.11조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20234,362억원 20244,104억원을 기록하면서 전년대비 약 5.9% 감소했는데, 물류운임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파악됨

 

디엔솔루션즈는 국내 공작기계 시장 점유율 1위로 증시에 입성하며 오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세계 66개국에 수출에 따른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점은 긍정적으로 볼 수 있음

 

수급적인 측면에서 볼 때 22.22%의 유통 물량은 공모가 하단 금액 기준으로 약 9,119억원대로 부담이 있고, 최근 영업 이익 및 매출이 정체기에 접어들었고, 특히 구주매출 비중이 56.8%로 높아서 상승 여력이 제한적이라고 판단되어 균등으로 참여할 예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