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투자

나우로보틱스 공모주 분석

jina1007 2025. 4. 17. 14:13
종목명 나우로보틱스
공모가액 5,900 ~6,800
시가총액(예상) 740억원 ~ 853억원
공모금액(예상) 148억원 ~ 170억원
공모주식수 2,500,000
신주 수량 2,500,000
수요예측기간 2025.04.14 ~ 2025.04.18
청약예정기간 2025.04.24 ~ 2025.04.25

 

나우로보틱스는 2016년 설립 이후 산업용 로봇과 자율주행 물류 로봇, 로봇 자동화 시스템 등을 개발, 제조 공급하고 있음

나우로보틱스는 로봇 핵심 기술을 대부분 내재화에 성공했다는 점이 강점으로 평가받을 수 있으며, 직교 로봇, 다관절 로봇, 자율주행 로봇 등 제조업 전반에 걸친 다양한 제품을 만들어내면서, 특히 로봇산업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핵심 원천기술인 로봇 프레임워크 및 제어엔진, 서보제어 기반 정밀제어, 무인 이동로봇 정밀주행 기술, 로봇 운영 소프트웨어 플랫폼, 로봇 하드웨어 설계 개발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음

(출처: 나우로보틱스 IR)

나우로보틱스는 또한 반도체, 자동차, 전자, 의료기기, 물류와 이차전지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한 확장성을 가지고 있으며 공정 설계부터 설치, 유지보수까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요구에 맞춘 최적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음

(출처: 나우로보틱스 IR)

나우로보틱스는 로봇 하드웨어부터 제어기, 소프트웨어, MES까지 자체 제공 가능한 풀패키지 자동화 솔루션을 갖춘 반면 경쟁사인 두산로보틱스나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주로 협동로봇 단일 제품에 집중하고 시스템 통합은 외주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음

(출처: 나우로보틱스 IR)

나우로보틱스는 NURO, NUKA, NURO-X, NUGO 등 다양한 로봇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어 산업별 대응력이 높은 반면 두산과 레인보우는 6축 협동로봇 중심으로 제품군이 제한적이고, 조작이 쉬운 UI/UX를 제공해 비전문가도 운용 가능하며, 다양한 산업 현장에 맞춤형 자동화 경험이 풍부함

여기에 국산화 기반의 빠른 피드백과 유지보수 및 가격 경쟁력도 갖추고 있어 현장 실용성과 접근성 면에서 차별화된 강점이 있음

글로벌 로봇 시장은 2030년까지 약 218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연평균 성장률(CAGR) 14%에 달하며, 산업용 로봇 시장은 26년까지 연평균 8.4%, 협동로봇 시장 분야는 연평균 49%, 물류로봇 분야는 연평균 25.2%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출처:나우로보틱스 IR)

이러한 성장세는 인공지능, 5G,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기술 발전과 함께 고령화, 인건비 상승, 노동력 부족 등의 사회적 요인에 의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임

나우로보틱스는 고중량 다관절 로봇, 협동로봇, 지게차형 물류로봇 등을 앞으로 개발하여 제품 라인업을 강화할 계획이고, 이러한 로봇들은 사용자 친화적인 UI/UX를 통해 비전문가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자동화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개발될 예정임

(출처: 나우로보틱스 IR)

(출처:나우로보틱스 증권신고서)

매출액은 2023 104억원 2024 120.5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손실은 2023-54.7억원 2024-28.5억원을 기록하면서 적자 폭을 줄여 나가고 있음

 

나우로보틱스는 기술특례 기업으로 증시에 입성하며 적자에 따른 우려가 있을 수 있지만 AI기술과 로봇관련 테마로 기술력과 성장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볼 수 있음

 

수급적인 측면에서 볼 때 27.35%의 유통 물량은 공모가 하단 금액 기준으로 200억원대로 부담이 없으며, 산업용 로봇 시장의 성장성과 로봇섹터의 주가 흐름을 고려하여 균등과 비례로 참여할 예정임 

 

* 해당글은 단순 정보전달성 목적으로 투자를 권유하는 것은 아닙니다.

공모주 투자는 손실을 볼 수 있으며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개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