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투자

키스트론 공모주 분석

jina1007 2025. 5. 13. 17:15
종목명 키스트론
공모가액 3,100 ~3,600
시가총액(예상) 553억원 ~ 643억원
공모금액(예상) 195억원 ~ 227억원
공모주식수 6,300,000
신주 수량 4,400,000 (구주매출: 1,900,000)
수요예측기간 2025.05.12 ~ 2025.05.16
청약예정기간 2025.05.22 ~ 2025.05.23

 

키스트론은 1992년 흥덕제선㈜ 설립 이후 2021년 키스트론㈜로 사명을 변경 하였으며,  전자 부품용 와이어와 케이블용 와이어를 통해 고성장 시장에 진입하였음

수입에 의존하던 리드 와이어의 국산화에 성공하였고, 구리 대체제인 도체 와이어, 전지선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며 사업 다변화에 성공해 안정적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키스트론의 와이어 제품군은 크게 "전자부품용 와이어" "케이블용 와이어"로 구분되는데, 전자부품용 와이어는 가전제품부터 자동차 전장부품까지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되며, 케이블용 와이어는 건설, 토목, 플랜트, 발전소 등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됨

(출처: 키스트론 IR)

특히, 키스트론은 금속 선재(Wire Rod)를 가공하여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도체 선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주요 품목으로는 동복강선, 알루미늄, 동 도체 제품이 있으며, 이 중 동복강선은 철의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전기 전도성을 높이는 특성을 갖추고 있어 키스트론의 대표적인 매출 품목으로 자리 잡고 있음

(출처: 키스트론 IR)

키스트론은 고려제강 계열사로, 일본의 경쟁사와 비교해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구리의 전도성과 철의 내구성을 동시에 갖춘 복합 금속 소재를 양산하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고, 이 분야에서 수십 년간 축적된 노하우와 품질관리 역량을 갖추고 있음

전자부품용 리드 와이어는 일본 3개 대형 캐패시터 업체에 주로 납품되고 있는데, 이들 일본사는 글로벌 캐패시터 시장의 30%를 점유하고 있으며, 이 중 60%를 키스트론이 공급하고 있음

글로벌 리드 와이어 시장 점유율은 약 18%에 달하며, 케이블 와이어 역시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 품질을 인정받아 해당 지역 매출 비중이 33.3%에 달하고 있는데, 미국, 일본, 중국 등 경쟁사 대비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며, 특히 미국 시장에서는 중국산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음

바이메탈 와이어 분야는 진입장벽이 매우 높음. 까다로운 환경규제와 600억 원 이상의 초기 투자비용, 양산 및 수율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신규 진입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품질 경쟁력과 고객 신뢰도가 높아, 글로벌 고객사 90%가 재구매하고 75% 3년 이상 장기 거래를 지속하고 있으며, 2027년부터 알루미늄 와이어 시장 진출을 통해 수출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계획임

 

(출처: 키스트론 홈페이지)

(출처: 키스트론 증권신고서)

2024년 매출 구성을 보면 전자부품용 와이어에서 46.8%, 케이블용 와이어에서 45.2%로 대부분의 매출을 차지하고 있으며, 해외 매출 비중은 82.4%로 많은 부문을 차지함

(출처:키스트론 증권신고서)

매출액은 2024년 약 689.5억원 20251분기 약 171억원을 기록했고, 당기순 이익은 2024년 약 87.7억원 20251분기 약 15.1억원을 기록하며 흑자를 이어가고 있음

키스트론은 40년간 축척된 국내 유일의 바이메탈 와이어 전문 제조사로, 전자부품·케이블용 원자재 시장에서 기술력과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과 신뢰도를 확보하고, 연간 약 12,000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으로 볼수 있고, 수급적인 측면에서 볼 때 35.30%의 유통물량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글로벌 와이어 시장의 기술력과 성장성을 고려하여 균등과 적당량의 비례로 참여할 예정임 

'재테크,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링크솔루션 공모주 분석  (3) 2025.05.20
신한 스팩16호 공모주 분석  (5) 2025.05.12
인투셀 공모주 분석  (1) 2025.05.08
달바글로벌 공모주 분석  (2) 2025.05.07
롯데글로벌로지스 공모주 분석  (5) 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