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ETF Check>
📊 2025년 상반기 상위 ETF TOP10
순위ETF명YTD 수익률연간 수수료주요 구성 종목 (비중)상승 이유향후 전략
1 |
PLUS K방산 |
+161.21% |
0.45%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5%), 한화오션, 현대로템, 한국항공우주, LIG넥스원 등 |
지정학 리스크 + 방산 수출 확대 기대 + 중동 갈등 반영 |
지정학 뉴스 추적, 10~20% 내 비중 제한 + 분할매수/익절 전략 권장 |
2 |
TIGER K방산&우주 |
+158.98% |
0.45% |
현대로템 (20%), LIG넥스원 (22%),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 한화시스템 등 + 우주항공/로봇 관련 |
방산+우주항공 종목 집중 + AI/우주 테마 병행 수혜 |
지정학 모멘텀 매매 + 우주 기술 트렌드 확인 후 분산 |
3 |
PLUS 한화그룹주 |
+127.47% |
(유사 수준 0.45%) |
한화그룹 핵심 계열사 (한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에너지 등) |
방산·에너지·우주·태양광 등 다각도 성장 기대 |
그룹주 편입 시 배당 및 산업 간 분산 고려 |
4 |
SOL K방산 |
+121.44% |
0.53%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한화시스템, 현대로템, HD현대중공업 등 |
AI 기반 종목 분류 + 방산 전반 수급 강세 |
방산+AI 필터링 전략 지속 여부 추적, 분기 리밸런싱 |
5 |
HANARO 원자력iSelect |
+119.91% |
0.53% 합성 |
두산에너빌리티 (23%), 한전, 현대건설, LS전선, 현대일렉트릭 등 |
글로벌 친원전 정책 확대 + 원전 수출 모멘텀 |
원전 수출 계약·미국 정책 시그널 기반 편입 적기 |
6 |
TIGER 200 중공업 |
+102.96% |
≈0.35% (비슷한 중공업 ETF 기준) |
현대중공업, 두산중공업, 삼성엔지니어링 등 |
조선/플랜트 회복 + 원자력·방산 간접 동반 상승 |
중공업 업황 지표 모니터링 후 분할매수 또는 리밸런싱 |
7 |
KODEX 증권 |
+102.11% |
≈0.40% |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등 |
금리 안정 + 증권사 실적 개선 기대 |
금리·거래대금 기반 증권 비중 조절 전략 |
8 |
ACE 원자력테마딥서치 |
+101.29% |
0.30% (실부담 약 0.44%) |
현대일렉트릭, 두산에너빌리티, 한국전력, 현대건설, LS전선 등 |
AI 필터 + 친원전 확산 모멘텀 |
HANARO 원자력과 비교ㆍ분산 투자, 비용 대비 성과 체크 |
9 |
PLUS 태양광&ESS |
+92.26% |
0.45% (유사 비용) |
한화솔루션, LGESS, OCI, 현대에너지솔루션 등 |
글로벌 친환경 정책 + ESS 보급 확대 수혜 |
정책 발표 및 보조금 동향 기반 분산 편입 |
10 |
TIGER 200 건설 |
+84.69% |
≈0.35% |
대우건설, 현대건설, GS건설 등 |
건설 경기 회복 기대 + 인프라 투자 확대 |
인플레 정책·부동산 규제 변화 대응 유효 전략 |
🔍 종합 전략 & 시사점
- 방산·우주·원자력·중공업·ESG전략 등 '정책·지정학·인프라' 테마 중심 강세
- 방산 ETF는 지정학 리스크 민감도↑, 단기 이슈 추적 매매 필수
- 원자력·중공업·건설은 글로벌 정책 전환에 따른 구조적 성장 가능성
- 태양광·ESS는 ESG·재생에너지 확대 추세와 연계된 중장기 투자 적합
- 증권 ETF는 금리 안정과 거래 증가 시 수혜 가능
✅ 최종 결론
2025년 상반기는 정책/지정학/인프라 주도 ETF 랠리가 특징이었습니다.
- 초고수익은 방산 및 우주 테마 ETF에서 나왔지만, 변동성도 높아 단기 대응이 관건입니다.
- 원자력·중공업·건설·태양광 등은 정책 지원 기반 성장 산업으로서 중장기 핵심 포트로 고려할 만합니다.
- 비용 효율을 고려한 비레버리지 ETF를 중심으로 하되, 테마 트리거 발동 시 단기 대응 테마 ETF를 일부 포함하는 혼합 전략이 적절합니다.